Untitled

안녕하세요. CJ그룹 채용시스템 엔지니어 김정은입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최근 1년간 채용팀에서 진행한 DevOps 여정 이후의 변화에 대해 소개하려고 합니다.

여러분의 조직은 소스 형상관리, 배포를 어떻게 하고 있나요?

채용팀은 DevOps Tool Chain 도입 전 엑셀파일에 배포 소스를 취합하고 약 20번이 넘게 재기동 명령어를 수동으로 입력하며 배포 했었습니다. 코드리뷰, 새로운 Git 브랜치 전략 검증 등 아직 가야 할 길은 더 남아있지만, 한 가지 확실한 것은 DevOps Tool Chain 전환 이후 이전 개발 환경, 배포 방식에 존재했던 비효율적인 요소를 제거했다는 것입니다.

우리가 어떻게 이러한 조직으로 변화하였는지 본격적으로 설명드리겠습니다.

목차

  1. Gitlab 파이프라인 배포 장점

  2. DevOps 여정

    2.1 우리 팀에 맞는 git branch 전략 선택하기

    2.2 개발 테스트 환경 증설

    2.3 팀즈 봇 배포 알림

  3. 마치며


1. Gitlab 파이프라인 배포 장점

(1) 배포 파일 취합

채용팀은 운영 배포를 위해 배포 시마다 일자별 폴더 생성, 배포 파일을 취합하는 과정이 필수였습니다. 배포 건이 크고 많아질수록 중복되는 파일은 없는지, 누락된 파일은 없는지 꼼꼼히 체크해야했고, 이 과정에서 종종 휴먼 에러가 발생하기도 했습니다.

Untitled

                                                    기존 채용 배포 파일 취합 방식